■ 진행 : 김정아 앵커, 박광렬 앵커 <br />■ 출연 : 박기수 / 고려대 환경의학연구소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밤새 추가 확진자가 또 급증을 했죠. 대부분이 지금 대구 이쪽 지역이라서 이 지역 병상과 의료진 부족도 걱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WHO는 코로나19 발병을 두고 결정적인 시점에 와 있다며 세계 각국의 적극적 대응을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는데요. <br /> <br />전문가와 더 자세한 내용 살펴보겠습니다. 박기수 고려대 환경의학연구소 교수 함께합니다. 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어서 오십시오. 오늘도 확진자가 256명 늘었습니다. 이제 누적 확진자로만 하면 2000명이 넘은 이런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지금 우리가 어디쯤에 있는 겁니까? 정점에 있는 겁니까, 정점으로 올라가는 겁니까? 아니면 좀 수그러드는 겁니까? <br /> <br />[박기수] <br />글쎄요, 굉장히 참 어려운 문제입니다.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지금 숫자가 처음에는 20~30명 얘기하다가 갑자기 500명 하더니 1000명, 오늘 2000명까지 돌파를 했는데요. <br /> <br />사실 2000명 숫자가 어떻게 보면 굉장히 많아 보이기도 하지만 또 그렇게 많은 숫자도 아닌 게 왜냐하면 지금도 진행 상황이고요. <br /> <br />이게 비교가 어떨지 모르겠지만 지금 현재 오늘 2022명인데요. 이게 인구 분포를 좀 고려를 하면 중국이 인구가 16억이고 그때 당시에 한 8만 명 정도가 중국이 걸렸었는데요. <br /> <br />우리나라가 중국 인구의 16배가 많거든요. 그래서 지금 2000명을 굳이 중국 16배로 고려를 하면 한 6만 4000명, 32배니까 6만 4000명 정도가 걸린 상황이라고 보면 되고요. <br /> <br />물론 이걸 절대수치로 비교하기는 어려운 게 사실은 우리나라는 확진자를 굉장히 조기 발견해서 하는 케이스가 있기 때문에 중국은 사실은 덜 확진자가 됐기 때문에 실제 중국이 8만 명이라고 하지만 일각에서는 15만 명, 20만 명이라는 설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 측면에서. 그리고 우리나라의 진단 능력, 의료 기술이 훨씬 더 앞서기 때문에 이 숫자가 이거보다 중국 수준으로 치달으리라는 생각은 안 하지만 기본적으로 추가로 지금 올라갈 여지는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일단 먼저 세계 상황도 짚어보고 대구 상황도 이어서 보겠습니다. 지금 세계 상황 보면 이탈리아 같은 경우 600명을 넘겼습니다. <br /> <br />이제 650명이 됐는데 특히나 사망자 같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22811283021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